프로그래머스/Level2(JS)

[프로그래머스] 귤 고르기 - JS

KimBY 2023. 11. 27. 16:53
728x90
반응형

귤 고르기

❓ 문제설명

경화는 과수원에서 귤을 수확했습니다. 경화는 수확한 귤 중 'k'개를 골라 상자 하나에 담아 판매하려고 합니다. 그런데 수확한 귤의 크기가 일정하지 않아 보기에 좋지 않다고 생각한 경화는 귤을 크기별로 분류했을 때 서로 다른 종류의 수를 최소화하고 싶습니다.

예를 들어, 경화가 수확한 귤 8개의 크기가 [1, 3, 2, 5, 4, 5, 2, 3] 이라고 합시다. 경화가 귤 6개를 판매하고 싶다면, 크기가 1, 4인 귤을 제외한 여섯 개의 귤을 상자에 담으면, 귤의 크기의 종류가 2, 3, 5로 총 3가지가 되며 이때가 서로 다른 종류가 최소일 때입니다.

경화가 한 상자에 담으려는 귤의 개수 k와 귤의 크기를 담은 배열 tangerine이 매개변수로 주어집니다. 경화가 귤 k개를 고를 때 크기가 서로 다른 종류의 수의 최솟값을 return 하도록 solution 함수를 작성해주세요.

🚫 제한조건

1 ≤ k ≤ tangerine의 길이 ≤ 100,000
1 ≤ tangerine의 원소 ≤ 10,000,000

✔ 입출력 예

k tangerine result
6 [1, 3, 2, 5, 4, 5, 2, 3] 3
4 [1, 3, 2, 5, 4, 5, 2, 3] 2
2 [1, 1, 1, 1, 2, 2, 2, 3] 1

💡 풀이

function solution(k, tangerine) {
  // 내풀이
  // 크기가 작은 순부터 크기별 몇개인지를 count 배열에 담는다
  let size = 0
  const count = tangerine.sort((a, b) => a - b).reduce((acc, cur) => {
    if (cur === size) {
      acc[acc.length - 1]++
    } else {
      size = cur
      acc.push(1)
    }
    return acc
  }, [])

  // 같은 크기가 많은 순으로 k개를 담으면서 몇가지인지 확인
  return count.sort((a, b) => b - a).reduce((acc, cur) => {
    if (k > 0) {
      k -= cur
      acc++
    }
    return acc
  }, 0)
}

📝 해설

서로 다른 종류의 수의 최솟값이란 최대한 같은 종류를 많이 사용한다는 의미 이므로 각 크기별 갯수를 확인해서 그 갯수가 많은 종류부터 담으면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. 

 

그래서 최초에는 크기순으로 정렬한 후 종류별 갯수를 확인한 후 이를 다시 종류가 많은 순서로 정렬해서 원하는 갯수만큼 담으면서 그 종류를 카운터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. 

📚 참고자료

- https://kimby.tistory.com/48 (Array 메소드)

 

728x90
반응형